목표는 투자인가?
지난 글에서 ShareIR의 분석 기능을 소개해드렸는데요, 많은 분들이 “그래서 이 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까요?”라는 질문을 주셨습니다.
오늘은 저희가 실제 데이터를 분석하면서 발견한 몇 가지 흥미로운 인사이트를 공유해드리려고 합니다. 이 내용이 여러분의 IR 문서 작성에 참고가 되었으면 좋겠네요.
“이게 맞나?” - IR 작성하다가 고민에 빠진 모든 창업자들
투자자들에게 보내는 IR(Investment Relations) 문서. 처음 작성하시는 분들은 이런 고민을 하실 겁니다.
“어떤 내용을 넣어야 하지?” “이 순서가 맞나?” “투자자들은 어떤 부분을 중요하게 볼까?”
“템플릿대로 작성했는데 왜 반응이 없지?”
ShareIR의 분석 데이터를 살펴보면서 우리는 몇 가지 흥미로운 패턴을 발견했습니다:
전형적인 IR 문서의 섹션별 이탈률
이 데이터가 시사하는 바는 꽤 명확해 보입니다:
“이제는 감이 아닌 데이터로 이야기해볼까요?”
저희가 발견한 흥미로운 패턴 세 가지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첫 인상이 전부는 아니지만, IR에서는 상당히 중요할 수 있습니다”
저희가 분석한 두 가지 다른 접근 방식의 결과를 공유해드립니다:
스토리텔링 중심 방식 Executive Summary로 시작하는 IR의 평균 체류시간과 스크롤 깊이
스토리텔링 중심 방식:
우리 회사는 창업자의 아픔에서 시작되었습니다.
투자자와 창업자를 이어주는 가교가 되고자 합니다.
데이터 중심 방식 Executive Summary로 시작하는 IR의 평균 체류시간과 스크롤 깊이
데이터 중심 방식: 아래 수치는 모두 가상의 수치입니다.
- MRR(월간 반복 매출): 1.2억원 (MoM +37%)
- 고객사: 32개 VC/AC (NPS 82점)
- 누적 투자 유치 지원: 150억원
- 시리즈 A 라운드 진행 중 (투자 유치 목적)
💡 Tip: Executive Summary에서 시도해볼 만한 방안
- 가장 인상적인 지표 3개를 첫 문장에 배치해보기
- 모든 수치는 구체적인 시점과 함께 표시하기
- 투자 유치 목적과 금액을 명확히 제시하기
“그래서… 실제 숫자는 어떻게 될까요?”
일반적인 서술의 예시: “글로벌 IR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많은 기업들이 디지털 전환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구체적 수치를 활용한 예시:
구체적 수치 포함 여부에 따른 재방문율
두 가지 접근 방식의 결과를 비교해보았습니다:
일반적 서술 중심:
구체적 수치 중심:
구체적인 수치가 포함된 섹션에서는 재방문율이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네요.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초기 관심도(순 방문자)부터 50% 이상 높았다는 것입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구체적인 수치가 포함된 IR 문서를 더 신뢰하고, 의사결정 과정에서 반복적으로 참고하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 Tip: 구체적인 수치 활용 방안
- 시장 규모, 성장률 등의 수치는 출처와 함께 표시해보기
- 자사 지표는 최소 3개월 이상의 트렌드로 보여주기
- 경쟁사 비교는 정량적 지표로 설명해보기
“같은 IR도 보는 관점이 다를 수 있습니다”
ShareIR의 분석 결과, 투자 단계에 따라 IR 문서의 주요 관심 영역이 다르게 나타났습니다.
(좌) 시드/엔젤 투자자의 문서 검토 패턴:
(우) 시리즈 A 이상 투자자의 문서 검토 패턴:
이런 패턴의 차이는 어떻게 보면 자연스러워 보입니다. 시드/엔젤 투자자는 아직 성과가 미미한 초기 기업을 평가할 때 문제 해결 능력과 팀의 역량을 중요하게 보는 경향이 있고, 시리즈 A 이상 투자자는 이미 어느 정도 검증된 비즈니스를 평가하므로 실제 성과 지표와 수익 모델에 더 집중하는 것 같네요.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IR 문서 구조도 투자 단계에 따라 다르게 구성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시드/엔젤 투자 유치를 위한 구조 제안:
시리즈 A 이상 투자 유치를 위한 구조 제안:
💡 Tip: 투자 단계별 접근 방안
- 시드/엔젤: Problem & Solution과 Team 섹션을 좀 더 상세하게 작성해보기
- 시리즈 A: Financials와 Business Model에 구체적 수치를 보강해보기
- 공통: Executive Summary는 모든 단계에서 신경 써서 작성하기
IR 문서는 투자자와의 첫 만남입니다. ShareIR의 분석을 통해 우리가 발견한 인사이트들이, 여러분의 IR 문서 작성에 참고가 되었으면 합니다.
저희가 발견한 주요 패턴들을 정리해보면:
“좋은 IR의 시작은 투자자의 관점에서 생각하는 것이 아닐까요?”
💡 마지막 Tip “시간은 금이다”라는 말이 있죠. 여러분만의 방식으로 투자자의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Note: 이 글에서 공유된 수치와 통계는 ShareIR의 분석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각자의 상황과 목표하는 바에 따라 다른 접근이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